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있었던 수영사적공원 가봤더니

엔조이부산

by 아라누리 2010. 12. 29. 11:51

본문

부산시내에서 해운대로 들어 갈려면 수영로타리를 지나야 한다. 대중교통 버스를 타고가면  수영사적공원이 정류소라 하차 방송이 나오는 곳이다. 평소 흘러듣고 지나던 곳인데 이곳엔 무엇이 있을까 궁금하여 내려 걸어보니 5분 정도 소요되어 도착했다.


수영은 부산에서도 유서깊은 고장으로 통한다. 수영야류를 비롯한 유무형 문화재가 아직도 도시속에 남아 문화의 고장임을 엿보게 한다.

최근엔 광안리해수욕장이 워낙 유명세라 예전만 못하지만 문화의 흔적은 곳곳에 남아 발길을 멈추게 한다. 수영사적공원을 찾아보았다.

 수영성 남문 (홍살문)


좌수영성에는 동서남북 4개의 성문이 있었는데 왜정시대에 민족 말살정책으로 3개의 문이 폐문되고 현재 남문 (홍살문)만 남아 있다.

   수영성 고당 (송씨할매사당) 


수영고당은 조선시대 수사가 국태민안을 위한 독신의 제사를 지냈으며 이후 수영성민이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토지지신의제사를 지내던 곳이라 전해온다.
현재 수영고당은 일제시대 왜병의 희롱을 물리친 송씨 할매의 장한 정신을 기리기
위해 제당에 모시고 제사를 지내고있는 사당이다.  독신묘에는 병영의 대장 앞에 세우는 독기(纛旗)를 안치하여 군기의 신에게 제사를지내고 있어 일반제당과는 다른 특징이 있다.  제당에 인접한 천연기념물인 푸조나무는 지신목으로 곰솔나무는 군신목으로 여겨 자식들이 군대에 갈때 수영고당과 신목에 무사안녕을 기원하면 큰 효험이 있다고 믿고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곰솔나무






* 수령:400년
*천연기념물 270호
* 조선시대 좌수영
    군신목





                               푸조나무






*수령 500년
* 천연기념물311호
* 송씨할매의 넋이
   깃들어있어 당산목
    이라한다.



    
  경상좌도 수군절도사 선정비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의 옛터로서 좌수영의 총사령관인 수군절도사는 정3품
무관으로 통칭,수사(水使)라 하였으며 낙동강 동쪽에서 경주까지 해안방어를 수행하였으며 . 여기 33기의 비석은 조선시대 인조17년(1639)부터 고종27년(1890)사이에 수군 절도사와부관인 우호의 재임중 공덕을 칭송하는 선정비를 모아두었다..

 안용복장군 동상과 사당이 있는 곳


 
조선 숙종때 동래(현 수영) 출신 어민.
조선 숙종때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의 수군으로 당시 왜인들이 우리영토인 울릉도와 독도를 자주 침범하자 수차례 걸쳐 싸웠으며 일본으로 건너가 울릉도와 독도가 우리땅임을 확인시키고 에도막부로 부터 다시는 침범하지 않겠다는 각서를 받아 우리영토를 수호 한분으로 ,이후 장군으로 추앙된 안용복장군.  


      25인 의용단 사당


25인 의용단 사당도 우리 민족의 투철했던 호국정신을 느낄수있는 곳이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경상 좌수사 박홍은 싸우지 않고 수영성을 버리자 왜놈들이 침범해 약탈을 일삼자 참다 못한 성민들이 7년동안 유격전을 벌렸던 곳. 1609년 동래부사 이안눌이 25분의 인물을 차자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

  수영  민속공연 보존


문화예술은 우리 삶의 일부입니다. 전통문화는 우리의 역사가 스며들어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입니다.미속자료의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어있는 좌수영어방놀이 와 지신밟기, 수영야류, 수영농청놀아등 을 연구보존하고 공연하는 공연장 이 이곳에 있습니다. 

 부산에는 사적도 많고 큰 사찰도있으며 바다를 가진 도시라 쉽게 바닷가를 갈수도 있고 ,금정산이란 좋은 명산도 있다. 그리고 도심 한복판에 많은 유적지도 있다.   그러나 이곳 수영사적공원을 알고 있는사람이 그렇게 많지 않다는 사실에 놀랐다. 그곳에무엇이 있을까하여 들러보니 참으로 귀중한 것들이 많고 가족이나 학생들의 학습에도도움이 될 장소라 추천하고 싶은 곳이다.  한번 시간을 내어 들러보시기 권합니다.

여행정보
1> 찾아가는 길 
    * 부산시내 - 수영로타리 (하차)- 수영사적공원 ( 팔도시장옆)    

 2> 문의  위치 : 부산특별시 수영구 수영동 229-1 
              전화 : 051)752-2947  홈페이지 : www.suyoungminsok.or.kr

                                                                           posted by 바람흔적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